본문 바로가기
일상

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부상자와 피해 상황 정리, 쑥 꺼진 거리

by 마이피드 2025. 3. 24.

서울 강동구 싱크홀 부상자와 피해상황 정리, 쑥 꺼진 거리

[출처] YTN 실시간

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

반응형
  • 위치: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
  • 발생 시각: 2025년 3월 24일 오후 6시 29분
  • 크기: 지름 약 20m, 3개 차선 반에 이르는 너비
  • 피해: 차량 한 대와 오토바이 한 대가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에 빠졌으며, 1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.
  • 교통 통제: 사고 구간 양방향이 전면 통제되었습니다.
  • 원인 조사: 당국은 싱크홀 발생 원인과 피해 상황을 파악 중이며, 상수도관 파열 가능성도 조사 중입니다.

이 사고로 인해 강동구청은 안전 안내문을 통해 교통 통제 사실을 알리고 우회 도로를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

실시간상황보기▶


싱크홀 사고의 일반적 원인

반응형
[출처] 연출

싱크홀은 주로 하수도 및 상수도 파이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, 하수도 파이프의 손상이 46.6%, 상수도 파이프의 문제가 52.6%로, 두 경우가 전체 싱크홀 사고의 약 99%를 차지합니다. 또한, 지반 불안정성지하 공사도 싱크홀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.


서울의 싱크홀 문제

서울은 최근 몇 년간 싱크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에서 63건의 싱크홀이 발생했으며, 이는 경기도를 제외한 다른 광역시·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. 이러한 사고들은 주로 하수도 및 상수도 파이프의 노후화와 관련이 있으며, 서울시는 **지하 탐사 레이다(GPR)**를 활용하여 싱크홀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

실시간상황보기▶


예방 및 대응 조치

반응형

서울시는 **지하 탐사 레이다(GPR)**를 사용하여 싱크홀 위험 지역을 사전에 탐지하고 있으며, 노후된 하수도 및 상수도 파이프의 정기적인 점검과 교체를 통해 싱크홀 발생을 예방하고자 합니다. 또한, 지하 공사 시 지반 안정성 확보지하 공간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싱크홀 사고를 줄이고자 합니다.

실시간상황보기▶

이러한 조치들은 싱크홀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,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입니다.